유학넷설명회및이벤트
10 / 80 바이트
고객명
회신번호
유학백과 최신유학소식  | 어학연수 | 정규과정 | 자격증과정 | 조기유학  | 인턴쉽 | 워킹홀리데이 | 연계연수  | 보험 | 현지학교소식 | 유학준비물 | 국제전화정보 | 
 대사관정보 | 출입국안내 | 현지생활정보 | 비자정보
 
유학백과 > 정규과정정보 > 영국 > 영국의 학위  
 
영국의 교육기관 소개  

학위과정-2년제 디플로마
영국에는 약 700여 개에 달하는 2년제 국립대학(State College)이 운영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급학교 진학을 원하는 성인 학생들(유학생 포함)을 위하여 국가시험인 GCSE, A-Level 준비과정과 유학생들을 위한 학부예비과정(Foundation 또는 Access Program), 영어교육(EFL :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과정, 그리고 실무 중심의 각종 직업교육과정들을 개설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과정을 졸업한 영국 학생의 40%는 국가에서 인정하는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2년제 대학(college)에 진학합니다. 흔히 계속 교육(Further Education)이라고 불리는 영국의 직업교육과정은 대개 산업체와 잘 연계되어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신 기술을 습득한 학생들은 그만큼 취업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학교들이 정부(Further Education Funding Council, Scottish Office Education and Industry Department,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in Northern Ireland)의 보조를 받는 공립이며 교육은 수업, 에세이, 프로젝트 및 실무로 짜여져 교육의 질에 있어서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학교들은 입학요건이 까다롭지 않으므로 현재 가지고 있는 교육 정도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 과정을 선택할 수 있고 Vocational A-level, National Diploma(ND)나 Higher National Diploma(HND)와 같은 직업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경우에는 학사과정에 입학하거나 편입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게 되므로 먼저 2년제 대학에 입학하여 학사학위과정을 제공하는 대학교(University)로 진학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의학, 치의학, 법률 등의 과정은 직업교육 전문대학에서 수료할 수 없습니다.

1. 석사과정
영국의 석사과정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수업을 듣고 논문을 쓰는 1년 과정의 수업석사과정(Taught Master)과 수업 없이 연구를 통해서만 석사과정을 마칠 수 있는 2년 과정의 연구석사과정(Research Master/ MPhil)입니다. 수업석사는 우리 나라와 그 외의 모든 나라의 석사과정에 준하는 과정이며, 연구석사과정은 학위는 석사과정이지만 내용상 박사과정에 준합니다.

수업석사 우리나라 대학의 석사과정과 비슷하게 수업을 듣고 논문을 쓰는 1년 과정인 수업석사과정은 단기간이지만 매우 집중적이어서 학사 일정은 빡빡하지만 어려움이 있을 경우 언제든지 지도 교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므로 학위 취득에 실패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학위 취득률은 높습니다. 이 과정은 9월이나 10월에 시작해 다음해까지 3학기제로 이루어지고 3월이나 5월까지는 학부 과정처럼 지정과목들을 수강하고 몇 가지 시험을 치러서 학점을 딴 뒤 그 이후 4~5개월간의 논문,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개인 연구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연구방법에 대한 기초훈련, 업무실습 등이 병행되며 특정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가 가미되어 과정 말기에는 Vica Voice라고 하는 구두 시험을 치러서 통과한 후 최종적으로 학위를 취득하게 됩니다.
일부 석사 과정들은 전문직업(회계사, 변호사 등)에 알맞게 짜여져 있는데 특히 전문자격을 취득할 때 시험에서 일부 또는 전 과목을 면제받을 수 있도록 편성된 학과도 있습니다. 나머지 석사 과정들은 특정 학문 분야의 이론에 깊이 몰입할 수 있도록 학문 위주로 짜여져 있습니다.

전공분야에 따라 문예석사(MA : Master of Arts), 과학석사(MSc : Master of Science), 공학석사(Meng : Master of Engineering), 경영학석사(MBA : Master of Business Administration) 등으로 불립니다.
학부 과정 때 동일 계열의 과목을 전공했고 성적이 우수하거나(대게 GPA B 이상) 학부 때 전공이 석사 과정의 전공과 다르지만 석사 과정에서 전공하고자 하는 분야의 직장 경력이 있을 시에는 수업 석사과정(MA/MSc)으로 지원이 가능합니다. 혹은 학부 전공과 대학원 과정의 전공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라면 준석사(PgDip) 과정을 통해서 석사 과정으로 진학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라면 우선 입학하고자 원하는 대학에 어떤 자격을 갖추어야 입학할 수 있는지 문의해 보아야 합니다.
   
연구석사 연구를 통해서만 석사과정을 마칠 수 있는 2년 과정으로 수업은 없이 본인이 선택한 특정 연구 분야에 대한 지도교수(Supervisor)의 연구지도 아래 일정한 기간(대개 2년)동안 연구를 수행한 뒤 논문 제출로 심사하여 학위를 받는 과정이다. 이 과정으로 대개 자연과학(Science), 공학(Engineering), 의학(Medicine), 인문과학(Arts), 사회과학(Social Studies) 등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간혹 해당분야의 학부를 졸업하고 직장에서 연구경험이 많은 경우에는 바로 연구 석사 과정에 입학 할 수도 있지만, 수업 없이 순수하게 '연구'만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인만큼 연구 주제나 연구 계획이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연구 석사의 학사 일정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교수의 지도를 받아 자발적으로 연구 진행하는 과정이므로 수업 석사의 과정과 달리 9월뿐 아니라 1월 입학도 가능합니다. 또한 연구 석사의 경우 박사 과정으로 변환이 가능하므로 석사 과정을 마치지 않고 바로 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입학 신청시 필요한 서류는 대체로 최종 학력 및 성적 증명서, 추천서, 직장 경력 증명서, 연구 논문 목록 및 요약서 등이며 학교나 학과에 따라 이외의 서류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박사과정
영국의 박사과정은 일반적으로 3년이지만 전공 또는 연구진행 상황에 따라 3년 이상 소요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대체로 3년 학비만 내고 이후에는 실험실 사용료 등의 명목으로 실비만 내고 연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영국의 박사 과정에는 정해진 코스워크가 없으며 정기적으로 지도교수와 만나 지도를 받으며 스스로 연구를 진행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1년 차에는 차후 연구에 필요한 지식이나 새로운 기술적 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지도 교수와 상의하여 관련 과목의 석사 (필요하다면 학부과정) 과정의 수업을 청강하기도 합니다.(교육, 공학, 임상심리학, 비즈니스등의 경우에는 코스워크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학이나 공학의 경우, 학생들은 교수나 연구 소장에 의해 운영되는 연구 그룹에 참가할 수도 있습니다.

박사과정은 석사과정과 달리 자신이 하고자 하는 연구를 할 수 있는 대학과 교수를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전공서적이나 저널을 통해 알고 있는 교수가 있다면 그 교수에게 직접, 없다면 관심 있는 대학의 department(faculty) secretary 에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자기 소개서(예:이력서)를 포함하여 관심분야 및 연구방향(짧은 연구계획서-500자 정도)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영국의 박사과정은 스스로 박사과정 전체를 운영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개인의 자발적인 노력과 의지 및 시간 관리가 무엇보다도 요구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석사과정을 마쳤다면 영국의 박사과정 지원이 가능합니다. 지원자들에게 바로 박사 과정 입학이 허가 되기도 하지만 종종 연구석사(MPhil)로 입학 허가가 나기도 하며 연구석사 1년 과정 동안의 연구진행 능력을 평가한 후 그 능력이 인정되면 두 번째 해에 박사과정 2년차로 승급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학위과정-3년제 학사과정
영국의 교육은 대학교의 역사와 전통으로 더욱 유명합니다. 그 중 12세기에 설립된 옥스포드와 캠브리지 대학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들 중에 하나이며 스코틀랜드에 있는 세인트 앤드류스대학교, 글라스고우 대학교 등도 오랜 역사를 자랑합니다.
19세기에는 산업화에 따른 과학 및 기술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런던대학교, 맨체스터대학교, 버밍엄대학교, 레딩대학교, 리버풀대학교, 브리스톨대학교 등 많은 대학들이 설립되었습니다.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기술 및 전문직업 학문교육 중심으로 폴리테크닉이라 불리는 서섹스, 워릭, 켄트, 에섹스 대학교 등이 세워졌으며, 1992년에는 30여 개의 폴리테크닉학교들이 대학으로 승격되었습니다. 오늘날에도 이전에 폴리테크닉학교였던 대학들은 오래된 대학들보다 실용적인 학업 과정이 많은 편입니다.

영국대학은 1년 3학기제이며 신입생을 받는 한 학년의 시작은 일반적으로 9월입니다. 공대 및 교육대(4년), 건축(5~7년), 의과(5~6년), 치의예과(5~6년), 수의학과(5~6년)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총 3년(스코틀랜드는 4년)의 기간동안 학문과 실용성 어느 쪽도 부족하지 않도록 대학마다 독립적이고, 독특한 커리큘럼으로 운영됩니다.

영국대학은 모두가 정부의 지원을 받는 국립이며 왕실 헌장을 수여 받아 유일하게 완전한 사립대학인 버킹검대학(The University of Buckingham)은 4학기제로 운영되며, 한학기의 시작은 1월입니다. 국립대와 사립대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모든 대학교는 학문 추구의 자유가 보장되고 학생의 입학문제, 교육분야 및 교육방법, 학위수여, 보직 교수의 임명 등 실질적인 대학 운영은 정부의 간섭 없이 각 대학의 재량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대학간 수준은 거의 평준화 되어 있으므로, 대학 평가 시 종합적인 평가보다는 학과별 평가를 더욱 중요시 합니다.

흔히 First Degree라 부르는 학사학위는 전공과목에 따라 BA (문학 학사)/ BSc (이학 학사)/ LLB (법학 석사) 등 분야별로 이름이 주어지고 분야간 차이는 없지만 우등(Honours : Class I), 상위 2등급(Upper Second : Class II Division 1), 2등급(Lower Second : Class II Division 2), 3등급(Third Class : Class III), 통과(Pass)로 학위의 등급이 매겨지는 곳이 많습니다.

학과의 특성에 따라 샌드위치 과정으로 학부 과정 3년에 1년의 현장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있는 학과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대게 학부 과정 2년을 마친 뒤 1년 동안 전공 관련 분야에서 현장 실습을 하게 됩니다.

영국의 학위는 First Degree, Upper Second Degree, Lower Degree, Third Degree or Pass로 나눈다. 석사과정에 진학하기 위해서는해당분야의 학위(First Degree)를 소지해야 하나 관련 직장 경력도 입학 자격으로 인정 받을 수 있다.
석사과정에 진학할 자격을 갖추지 못한 학생은 일년정도 대학원 수준의 디플로마 과정을 거친 후 석사과정에 진학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일년 기간의 대학원 수준 디플로마 과정과 1~2년 기간의 석사과정으로 대표된다.
영국대학의 석사과정은 1~2년으로 되어 있으며 Taught Course(강의과정)와 Research Course(연구과정)로 나눠져 있다.

강의과정 (Taught course 또는 Higher Degrees by Instruction)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강의와 세미나에 참석하고 필기시험을 친다. 학위과정은 12, 15, 21, 24개월의 경우가 있으며, 가장 보편화되어 있는 12개월의 과정의 경우 강의는 대개 6 ~ 9개월 동안만 듣고 그 후의 기간에는 연구 프로젝트나 논문준비를 한다.

연구과정 (Research course 또는 Higher Degrees by Research)

정해진 과정이 없이 지도교수 (Supervisors)가 개개 학생의 연구과제에 적합하게 짜주는 대로 강의나 세미나 등에 참석하여 연구를 하는 과정이다. 대개 시험은 없고 연구 결과를 종합한 논문 발표로서 학위가 수여된다. 기간은 2년이지만 외국 학생의 경우 학위 취득에 보통 3년이 걸린다.

학위 취득 기간

Diploma 과정은 일반적으로 Degree과정보다 이수하는 기간이 짧다. 강의과정은 강의와 세미나에 규칙적으로 출석해야 하고 일반적으로 코스기간 중에 논문이나 에세이를 쓰게 되어 있다. 학위수여에 관한 평가는 필기시험이나 논문발표를 통해 이루어진다. 반면에 연구과정은 하나의 독창적인 연구주제를 설정하여 지도교수의 감독하에 수행하게 된다. 인문대학의 경우 수여되는 일반적인 석사학위는 MA, Mphil, Mlitt이다. 사회과학 대학은 MSC, 공과대학 MEng나 MTech가 보통이다.

 

박사과정

1) 개요

박사과정으로 가기 위해서는 석사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며 우리나라 학생들은 학제와 학습방법의 차이 때문에 학부과정 후 곧바로 박사과정으로 입학하는 경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박사학위 취득에는 보통 3년이 걸린다. 박사학위는 석사과정보다는 우위에 있지만 박사학위를 받기 위해 반드시 석사학위를 소지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연구 석사과정(MPhill)에 먼저 등록하고 1~2년 동안 연구 수행능력을 평가받게 된다. 이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수하고 나면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정식 과정으로 전환이 된다.

2) 박사 학위 취득

최소한 3년의 연구과정 후 논문과 구두시험의 통과로서 수여된다. 대부분의 경우 일단 석사 학위 과정(MPhill)으로 등록이 되며, 1년 정도의 과정 후 지도교수의 평가에 따라 박사학위 과정으로 옮기게 된다.

3) 자격요건

우리나라 대학의 학위를 인정하므로 얼마든지 대학원 과정에 입학 할 수 있다. 만일 전공을 바꿀 경우는 학부 때의 전공과 다른 분야를 택하더라도, 반드시 학부 과정을 할 필요는 없다.

석사/박사 과정(MA/MSc/MPhil) 에 지원하는 경우

1) 석사과정 지원의 경우

1. 영국대학의 석사과정이 한국대학이나 기타 다른 나라 대학과 다른 특징이 있습니까?

영국에는 석사과정이 두 가지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우리나라 대학의 석사과정과 비슷하게 수업을 듣고 논문을 쓰는 12 개월 과정인 일명 수업석사과정(Taught Master)과 수업은 없이 연구를 통해서만 석사과정을 마칠 수 있는 2년 과정인 연구석사과정 (Research Master)이 있습니다.

2. 우리나라에서 학사를 마친 후 곧장 석사를 갈 수 있는지, 또 두 가지 종류 중 어떤 석사과정이 적합할까요?

전공이 같은 계열이고 성적이 나쁘지 않을 경우 곧장 석사과정으로 입학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학생의 경우 대부분 수업석사과정(MA 또는 Msc)을 선택합니다. 간혹 해당분야의 학부를 졸업하고 직장에서 연구경험이 많은 경우에는 연구를 통한 석사과정 (Mphil)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 그러나 Mphill 과정을 할 바에는 대부분의 경우 1년 더 공부해서 PhD 를 받으려는 학생이 더 많습니다.)

3. 전공을 바꾸어 석사 과정에 지원 할 수 있습니까?

경우에 따라 다릅니다. 학부 때의 전공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거나, 직장에서 하던 일이 새로이 하려는 공부와 관련이 있다면 전공을 바꾸어 석사과정 지원이 가능 하겠으나, 매우 다른 경우라면 Postgraduate Diploma 과정을 한 후에 석사과정으로 지원하기를 권합니다.
어떤 경우든 지원하는 학교에서 결정 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학교에 직접 문의 해보아야 합니다.

2) 박사과정 지원의 경우

1. 영국의 박사 과정의 특징을 알고 싶은 데요?

영국의 박사과정은 3년 과정으로 되어 있는데 전공이나 연구진행 상황에 따라 4년 정도 걸리기도 합니다. (이 경우 3년 학비만 내고 그 후에는 실험실 사용료 등의 명목으로 실비만 내고 연구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영국대학의 박사과정은 코스워크가 대부분 없고 교수와 정기적으로 만나서 연구진행에 관한 지도를 받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교육학, 공학, 임상심리학, 비즈니스 등의 박사과정은 코스워크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2. 한국에서 석사과정을 마치고 곧장 박사과정으로 입학이 가능합니까?

예, 그렇습니다. 그런데 알아 둘 것은 대부분의 경우 박사로 지원해도 입학허가가 올 때는 첫해에는 연구석사과정 (Mphill)으로 등록하도록 합니다. 그런 다음 1년 동안 학생의 연구 진행 능력을 평가한 후에 능력이 인정되면 두 번째 해에는 박사과정 2년차로 등록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결국은 처음부터 박사과정으로 시작한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3. 내가 원하는 전공의 박사과정 공부할 수 있는 대학은 어떻게 찾아 볼 수 있습니까?

박사과정으로 지원하는 경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가 하고자 하는 연구를 할 수 있는 대학, 교수를 찾는 것입니다.
전공서적이나 저널을 통해 알고 있는 교수가 있다면 그 교수에게로 직접, 없다면 관심 있는 대학의 Department Secretary 에게 문의 편지를 보냅니다. 이때 본인에 대한 소개서 (이력서 같은 것), Research Proposal (500 words. 즉 A4 두page 정도)를 함께 동봉하여 어느 교수가 지도 해 줄 수 있는 있는지를 문의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지도교수가 될 사람이 직접 답장을 보내올 것입니다.

3) 석.박사과정 공통으로 알아두실 사항

1. 유명한 대학은 어디 입니까?

영국대학은 학교 순위가 분명하게 드러나 있지 않습니다. 영국의 모든 대학 (Buckingham University 만 제외)이 국립대학이고 외부시험관제도등을 도입하여 모든대학이 평준화되어 있다고 영국 학교들은 주장합니다.
유일한 학교 평가 자료는 4 년에 한번씩 영국정부에서 내 놓는 Research Assesment 가 있으므로 박사과정에 가실 분들은 참고 하실 수 있으나 수업석사를 비롯한 다른 과정의 선택에 있어서도 이 자료만을 의존하시면 옳은 선택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수업석사과정은 teaching 이 중요한 문제인데 teaching 에 관한 공식 순위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수업석사과정은 여러분이 원하는 내용을 공부할 수 있는 학교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학위과정을 시작 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입니까?

보통 수업석사과정은 매년 9월/10월에만 가능합니다. 가끔은 1월경에 가능한 학위과정도 있으나 흔하지 않으며 학교요람을 통해 알아 보실 수 있습니다.
박사과정이나 연구석사과정은 매 학기 초 (10월,1월,4월)에 시작가능 합니다.

3. 입학 수속은 언제부터 시작하면 됩니까?

입학 지원 마감일은 대개의 경우 없습니다. 수업 석사과정의 지원의 경우 가려고 하는 해 전해 10월 11월경에 지원하는 것이 좋으나 다음해(입학 당해 년도) 3월 정도까지 원서를 보내셔도 늦은 것은 아닙니다. 수속이 아주 늦은 경우에는 6.7월 까지(입학 당해 년도)도 지원 가능합니다.
단 Cambridge, Oxford, LSE 등은 학과에 따라 지원마감이 있으므로 학교 요람을 통해 미리 확인 하고 준비 하십시오. 박사과정의 경우는 9개월 전에는 지원 해야 합니다.

4. 학비와 생활비는 얼마나 듭니까?

학비는 실험이 없는 학과의 경우 일년에 약 6300 파운드 - 7300 파운드 이며 실험이 필요한 학과의 경우 7,590 파운드 - 9300 파운드 입니다. 생활비는 년간 5800 파운드 정도로 예산하나 런던일 경우는 6500 파운드 정도 예산해야 합니다. 정확한 학비는 해당 학교 요람을 통해서 알아보실 수 있으며 다른 나라와 영국의 학비/ 생활비 를 알고 싶으시면 “영국유학을 위한 경비 비교표” 를 참조 하십시오.

5. 장학금의 기회는 많이 있습니까?

장학금의 기회는 많지는 않으나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영국문화원 장학금과 Chevening Scholarship -안내 자료가 비치되어 있으니 자세히 읽어 보신 후에 담당자에게 문의 하십시오.
ORS (Overseas Research Student) - 외국학생 중 Research 과정에 있는 학생들( 즉 Mphil, 또는 PhD)에게 주어지는 장학금으로 지원하는 학교로 매년 4월 30일 까지 신청을 해야 합니다.
그 밖의 장학금은 각 학교에서 정보를 구할 수 있습니다.

6. 영어 시험은 어떤 시험을 요구합니까? 토플도 가능합니까? GRE 나 GMAT 시험은 요구하지 않습니까?

영어 성적은 꼭 제출해야 합니다. 토플도 대부분의 학교에서 인정을 합니다만 TWE 를 함께 제시해야 합니다. 그러나 영국으로 유학 가려고 마음 먹었으면 영국문화원에서 매달 두 번씩 시행하고 있는 IELTS 시험을 보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이 시험은 Speaking, Writing, Reading, Listening 의 4가지 skill 을 테스트하며 주관식으로 진행되는, 토플과는 형식이 매우 다른 시험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뒷부분에 부록을 보시길 바라며 시험가능 일자나 예약은 담당자 김미란에게( 737-7157 교246 ) 해주십시오. 영국 대학은 대부분 GRE 또는 GMAT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단 경제학 지원의 경우 GRE 를, MBA과정 지원의 경우 GMAT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OEFL의 경우 580, IELTS 의 경우 6.5 이상이면 대게 가능하나 학과에 따라 요구되는 성적이 조금씩 다릅니다.

7. 비자는 어떻게 발급/연장 받습니까?

영국으로 유학 갈 때에는 비자를 국내에서 사전에 받아 갈 필요가 없습니다. 영국학교에서 받은 입학허가서를 가지고 영국으로 떠나면 됩니다. 영국 입국시에 공항에서 입국심사를 받게 되는데 이 때 입학허가서와 재정보증서를 보여주어 영국에 공부하러 왔다는 것이 확인이 되면 대부분 문제 없이 체류허가기간이 명시되어 있는 도장을 여권에 받게 됩니다. 가족이 함께 들어 갈 경우에는 가족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야 합니다. 공부를 계속하고 싶어 체류기간을 연장하고 싶으면 Home Office 에 가서 학교에 등록한 영수증을 제시하여 어렵지 않게 연장 할 수 있습니다.

8. 숙소

학교의 숙소담당관이 숙소를 알선해 주므로 영국으로 떠나기 전에 숙소를 확실히하고 가게 되는 것이 대부분 입니다. 입학 첫해의 외국학생에게는 원할 경우 대학 기숙사를 우선적으로 알선해주며 그밖에 민박 등도 알선 해 줍니다. 그러나 가족이 함께 가서 거주할 경우는 대부분 직접 영국으로 가서 발로 뛰어 알아보아야 합니다.

9. 아르바이트가 가능 합니까?

영국의 학위과정은 매우 빡빡하기 때문에 학위과정 중 아르바이트는 거의 불가능 합니다. 취업하기 전에 허가를 받아야 하며 사실상 취업이 매우 어렵습니다. 영국에서 일하면서 학비를 충당할 계획이라면 다시 고려해 봐야 할 것입니다.

미국의 교육제도 | 지원정보 | 전공과 진로 결정하기 | 예술 대학 가기 | MBA (경영 대학원) | 유학 시험 준비하기
25년 8월 및 26년 1월…
한국 대학 온라인 진…
고등학교 내신으로 세…
25년 8월 및 26년 1월…
세계적인 명문대학교 …
조기/교환학생 온라인…
김*명님 수속접수 완료…
김*서님 수속접수 완료…
원*희님 수속접수 완료…
김*태님 수속접수 완료…
허*영님 수속접수 완료…
박*경님 수속접수 완료…
미국, 영국 명문대학…
세계적인 명문 영국…
캐나다 유학 후 이민…
[미국, 영국, 캐나다…
미국/캐나다 항공운…
해외 의대와 수의대…
조기/교환학생 온라…
조기/교환학생 온라…
조기/교환학생 온라…
조기/교환학생 온라…
조기/교환학생 온라…
9월 - 조기유학 및 …
미국비자 관련해서 …
미국비자 관련해서 …
미국 비자 문의드립…
미국 비자 문의드립…
영국 학생 비자 질…
영국 학생 비자 질…
카플란 영국 레스터 …
카플란 영국 옥스포드…
카플란 영국 본머스 …
카플란 영국 리버풀센…
영국 정규 수속 고객 …
Kaplan Edinburgh 센…
월간리포트입니다.
월간리포트입니다.
월간리포트입니다.
월간 리포트입니다.
월간리포트입니다.
월간 리포트입니다.
미국, 영국 명문대학 편…
세계적인 명문 영국대학…
캐나다 유학 후 이민 개…
[미국, 영국, 캐나다] …
미국/캐나다 항공운항 (…
해외 의대와 수의대를 …